본문 바로가기

independent businessman

애플 맥북 구매 후 느껴지는 애플 생태계 그리고 낙수효과

애플 맥북 구매 그 이후...

애플 맥북을 구매했다. 기다리고 기다리던 맥북이 도착하고 이리 저리 살펴 보며 좋아하기도 잠깐 불편함이 마구 엄습해 왔다.

맥북 내에 장착된 트랙패드는 참으로 좋았으나 노트북을 메인으로 쓰는 것이 모니터 사이즈도 그렇고, 키보드도 너무 좁았다.

특히나 택배를 자주 보내며, 숫자 판을 누르는 양이 현저히 많았던 나에겐 영어 키판 상단에 위치한 숫자키는 너무 불편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키보드를 하나 사기로 했고, 벼르고 벼르던 기계식 키보드 하나 장만!

너무 단순하게 키보드만 생각했던 나. 마우스를 쓰려면 트랙패드로 다시 손을 올려야 하는데 이것이 너무 상식적으로도

불편하단 말이지. 왜 몰랐을까? 결국 마우스를 알아 보는데, 와 맥북은 기존에 쓰던 usb C타입을 쓸 수가 없었다.

 

 

이때 부터 고민이 시작되었다. 클램쉘 모드로 맥북을 사용하고 싶었던지라 그러려면 모니터도 하나 필요하고,

그것도 4k 급으로다가.... 그리고 키보드와 마우스 (혹은 트랙패드2) 그리고 이를 다 사용하려면 허브나 독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게 되었다.

 

그냥 맥북 구매로 너무 들떠있었던 나를 반성하기 시작했다. 추후에 이런 저런 추가 지출이 이렇게나 많이 발생되리라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

마치 중고차를 살 시, 그것도 외제차. 어 뭐야? 외제차 이 정도 뿐이 안하네? 하고 구매를 하게 되면 등록세, 보험, 타면서 겪게 될 유지비

이런 비용들이 현기차에 비해 월등히 높다라는 사실을 모르고 구매한 것과 같은 느낌이지 않았을까?

 

어쨌든 맥북을 구입했으니 그렇다고 이 맥북을 불편하게 사용하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결국 트랙패드를 하나 구입하고

모니터는 조금 보류하기로 결정하고 높낮이 조절이 되는 하이라이즈 거치대를 구매했다.

 

맥북을 구매하고 애플에서 만드는 제품의 우수성에 한번 놀랐지만 그보다 더 헉소리 나게 놀랐던 것은 애플생태계였다.

애플 생태계가 이정도였다니. 제품 하나 구매했는데 예산을 심하게 오버해서 초과하게 되었다. 이제 다시 열일모드를 들어가야

할 정도이다.

 

 

예전 유승준이 cf 찍었던 메가패스였나? 따라올테면 따라와 봐! 가 생각났다. 애플은 이것과는 정 반대로,

안 따라오고는 못 배길껄? 이런 느낌이다. 자신감과 자부심이 물씬 느껴지는 그런 느낌이었다.

 

애플 브랜드의 맥북과 애플 사의 트랙패드를 샀지만 키보드는 키크론, 거치대는 트웰브 사우스를 샀다. 낙수효과라는 부동산 용어

있는데, 애플 생태계 옆에서 잘 붙어 있으면 이런 낙수효과도 기대해봄 직 스러워보였다.

또 한번 모든 비즈니스 생태계가 비슷함을 느꼈다. 청소업을 하는 나이지만 이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소비자들이 가전제품도 새로이

구매를 하고, 입주청소, 가전제품 청소도 하게 된다. 이왕 돈 들어갈 때 한번에 쓰자는 마인드가 작동하는 것이다.

이사로 인한 낙수효과, 맥북으로 인한 낙수효과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자 어쨌든 오늘로서 마우스 (트랙패드) 까지 장착을 했겠다. 이제 더 집중해서 블로그도 쓰며 열일해야겠다.

열 일 모드 on

 

728x90